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회

경남도, “2026년 국비 10조 원 시대 겨눈다” 국고 예산 확보전 본격 돌입

조인호 기자 입력 2025.04.09 16:47 수정 0000.00.00 00:00

9일, 도청서 ‘2026년도 국비 신규사업 2차 보고회’ 개최

↑↑ 경남도, “2026년 국비 10조 원 시대 겨눈다” 국고 예산 확보전 본격 돌입
[경남_대민포커스N=조인호기자]경상남도는 9일 오전, 박완수 도지사 주재로 도청 도정회의실에서 ‘2026년도 국비 신규사업 2차 보고회’를 열고, 내년도 국비 확보 계획과 추진 전략을 논의했다.

경남도는 2026년 국비 확보 목표액을 올해보다 4.1% 증액된 10조 원으로 설정했다. 이는 2025년 확보액인 9조 6천억 원보다 4천억 원이 늘어난 규모로, 도정 핵심사업 추진과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재정 확보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2026년 국비신청 사업은 신규사업 215건(5,093억 원)과 계속사업 1,035건(10조 2,437억 원) 등 총 10조 7,513억 원 규모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중앙정부 계획에 반영된 도 주요사업의 차질 없는 추진과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신규사업 발굴 방안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박 지사는 “국비확보는 도민들께서 지금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고민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며, “도정방향에 맞게 발굴 사업을 재정비하고 사업별로 정부예산편성방향에 맞춰 논리를 보강해, 복지·관광분야 등 도민들께서 체감할 수 있는 국비확보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당부했다.

정부 계획에 반영된 도 주요현안 사업은 다음과 같다.
• 우주항공 산업: △우주항공 창업기업 공유공장 구축(5억 원), △우주산업클러스터 구축(423억 원)
• 에너지․기술 분야: △소형모듈원전(SMR) 제조부품 시험검사 지원센터(5억 원), △혁신거점 인공지능 데이터 융합과제 지원(15억 원), △지역특화 제조데이터 활성화 사업(20억 원)
• 산업단지․문화: △창원국가산업단지 문화선도산단 조성(68억 원), △융복합 콘텐츠 전시체험과 조성(5억 원)
• 교통․물류 인프라: △김해~밀양 고속도로 건설(20억 원), △진해신항 건설 1단계(4,500억 원), △남부내륙철도 건설(1,500억 원)
• 기타 사업: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 사업(88억 원), △2026년 세계유산축전(15억 원), △글로컬대학30 신규 프로젝트(300억 원)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신규 사업도 다수 포함됐다.
• 산업 지원: △경남방위산업 이중구조 개선사업(30억 원), △로봇산업 연계형 로봇비즈니스 친화적 환경 구축사업(10억 원), △경남형 조선업 동반성장 지원사업(65억 원), △바이오메디컬 이노베이션 센터 구축(20억 원)
•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중소기업 재해예방 안전디자인 지원(14억 원), △소상공인 소규모 경영환경 개선 지원(37억 원)
• 청년 지원: △고립·은둔 청년 지원사업(8억 원)
• 특화산업: △함정유지보수운영(MRO)특화단지 조성 및 기술지원 기반구축(60억 원), △케이-오이스터(K-oyster, 굴) 특화 수산식품 클러스터 조성(13억 원), △권역정신응급의료센터 지원(3억 원)

또한, 대형 재난 대응을 위한 신규 사업도 발굴됐다.
△산불 등 대형 재난 대응을 위한 장비 확충(177억 원), △야간 산불 진화 인공지능(AI)드론 시스템 개발(50억 원), △산불전문예방진화대 장비확충 및 임차헬기 지원(427억 원), △국립남부권 산불방지센터 설립(3억 원) △산불피해지 산사태 예방을 위한 사방사업(98억 원), 산청·하동 산불 긴급벌채비 지원(100억 원)등이 포함됐다.

이날 보고회에서 논의된 사업들은 4월 말까지 중앙부처에 신청할 예정이며, 정부 예산안이 확정되는 8월까지는 지방재정협의회, 여야 예산정책협의회의, 세종 국비확보 대응 상황실을 통해 지속 건의할 계획이다. 또한 국회 심의가 진행되는 9월부터 12월까지는 국회 상황실을 운영해 미반영 사업의 반영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대민포커스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