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사회

경남도, 미(美) 상호관세 돌파구 찾는다! 도내 업계・관계기관 ‘원팀’ 총력 대응!

조인호 기자 입력 2025.04.09 16:40 수정 0000.00.00 00:00

9일, 도청에서 수출 관련 업계・관계기관 합동 회의 개최

↑↑ 경남도, 미(美) 상호관세 돌파구 찾는다! 도내 업계・관계기관 ‘원팀’ 총력 대응!
[경남_대민포커스N=조인호기자]경상남도는 미국의 상호관세로 인한 대외무역의 불확실성이 고조되는 가운데, 도내 수출기업의 피해 최소화와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경남도는 9일 도청 중앙회의실에서 자동차 부품제조업 등 대미 수출기업 8곳과 경남조선해양기자재협동조합, 한국원전수출산업협회, 한국방위산업진흥회 등 산업별 협회가 참석한 가운데 ‘미(美) 상호관세 대응 경남관계기관 합동 회의’를 개최했다.

경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 코트라 경남지원본부, 한국무역협회 경남지역본부 등 관계기관 12곳도 참여해 수출기업 지원책 마련에 머리를 맞댔다.

기업의 현장 목소리를 청취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이번 합동회의는 경남연구원의 미국 상호관세 전망 발표를 시작으로, 기업의 애로사항 청취 및 대응전략 논의, 기관별 지원대책 공유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참여기업들은 △물류비 지원 △수출기업 금융 지원 확대 △해외 박람회 참가 지원 확대 등 다양한 지원책을 요청했다. 도는 이날 논의된 건의 사항에 대해서는 도 차원의 지원책 마련과 함께 필요 시 중앙 정부에도 적극 건의할 방침이다.

한편, 미국 정부는 지난 2일, 자국의 관세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상대국에 관세를 부과하는 ‘상호관세’ 정책을 공식화했다.

경남은 민선 8기 출범 후 2022년 10월부터 지난 2월까지 29개월 연속 무역흑자를 이어가고 있지만, 이번 미국 상호관세 조치는 수출 중심의 제조업이 집약된 경남 경제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는 전세계적으로 ‘버티기게임’으로 바뀔 것이며, 버티지 못하면 글로벌 시장에서 퇴출될 것이고 버틴 기업은 생존할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가장 시급한 것은 우리 기업들이 버틸 수 있도록 필요한 자금을 지원해 주는 것이다.

도는 미국 중심(경남 수출의 약 23%, ‘25년 1~2월 기준)의 수출구조를 다변화하기 위해 해외마케팅 지원사업비를 대폭 확대하고, 상호관세에 대응해 대미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100억 원 규모의 긴급경영자금을 추가 배정했으며, 오는 추경에 수출보험료와 물류 지원비를 증액·신규 편성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 `자동차 산업 비상 대책`에 지역 자동차부품 기업지원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속해서 건의할 예정이고,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의 긴급경영안전자금, 한국은행의 지방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 등 관계기관과 연계해 다각적인 지원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김명주 경남도 경제부지사는 “미 상호관세 조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며, “오늘 건의 사항에 대해 적극 검토하고, 수출기업이 오래 버틸 수 있는 체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남도는 지난해 말 국내외 정치․경제 불안 속에서 민생경제 및 산업안정화를 위해 경상남도 민생경제 안정 대책본부와 산업 안정 대책 전담팀(TF)를 운영하고 있다.


저작권자 대민포커스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